고성인터넷뉴스

  •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9월 6일부터 준다
  • 한창식2021-09-01 오전 11:17:33


- 국민지원금 96일부터 1029일까지 신청

- 913()~17()``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읍·면사무소 2시간 연장 운영

- 918()``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읍·면사무소 특별 운영

- 200212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신청

- 국민지원금 고성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1231일까지 사용

- 군민 48``020(인구의 94%)1인당 25만 원 준다

 

96일부터 1029일까지 코로나19 피해 회복을 돕기 위해 군민 1인당 25만 원의 국민지원금을 준다.

 

고성군 인구의 94%48``020명에 대해 추석 명절 전까지 국민지원금을 주는데`` 온라인으로는 96일부터 신청할 수 있으며 읍면사무소를 찾아가서 신청할 경우 913일부터 신청해 1029일 마감한다.

 

국민지원금 온·오프라인 신청 모두 시행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1`` 6/2`` 7/3`` 8/4`` 9/5`` 0/·일 모두(온라인))로 이루어진다.

 

96일부터 온라인으로 신용·체크카드 충전이나 휴대폰용 고성사랑상품권을 받고자 하는 군민은 자신이 쓰는 카드사(롯데`` 비씨``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KB국민`` NH농협) 홈페이지나 앱(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앱)`` 제로페이 앱에서 신청하면 신청 다음 날 충전해준다.

 

913일부터는 은행 창구에서 신용·체크카드로 충전 신청할 수 있고`` 2021630일 기준 주소지 읍·면사무소를 찾아가 고성사랑상품권을 받을 수 있다.

 

고성군은 추석 명절 전 읍·면사무소에서 신청하는데 편리 하도록 913일부터 17일까지는 오후 8시까지 2시간 늘려 운영하고`` 918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특별 운영한다.

 

20201차 재난지원금과 달라진 점은 가구마다 재난지원금을 지급받던 것을 성인(20021231일 이전에 출생) 개인별로 신청해 받을 수 있는데 미성년자는 주민등록상 세대주가 대신 신청할 수 있다.

 

이번 국민지원금 대상은 20216월 부과된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 가구마다 합산액을 기준으로 하고`` 1인 가구는 직장`` 지역 가입자 여부와 상관없이 6월 건보료가 17만 원 이하`` 4인 가구 직장 가입자는 31만 원 이하`` 지역 가입자는 35만 원 이하이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이 한 명 더 있는 것으로 간주해 4인 가구 직장 가입자는 39만 원`` 지역 가입자는 43만 원 이하면 지급 대상이 된다.

 

가구원 수 산정은 2021630일 기준 주민등록법상 세대마다 주민등록표에 함께 오른 사람과 주소지가 다른 경우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인 배우자와 자녀는 가입자와 같은 가구로 본다.

 

다만 주소지가 다른 경우 부모는 피부양자라 하더라도 다른 가구로 보며`` 맞벌이 부부는 별도 가구로 보되 부부의 합산 보험료가 유리한 경우 같은 가구로 인정한다.


또 국민지원금은 고성군 내 고성사랑상품권 사용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는데`` 1231일까지 쓰지 못한 남은 금액은 돌려주지 않고 절로 없어진다.

 

국민지원금은 2021630일 이후 혼인이나 출산과 같은 가족관계가 바뀌었거나 건강보험료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이의신청은 96일부터 국민신문고나 주소지 읍·면사무소에서 신청하며 이의신청도 첫 주에는 온·오프라인 모두 요일제를 적용한다.

 

접수기한은 신청 마감일에서 2주 뒤인 1112일까지로`` 접수된 이의신청은 처리가 끝나면 개별 통보할 계획이다.

 

백두현 고성군수는 “20204월 전 군민 재난지원금과 20212월 전 군민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이 살아났던 경험이 있다코로나19 장기화로 고생하시는 군민 여러분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릴 수 있도록 국민지원금을 재빨리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군 홈페이지나 고성군 사회관계망에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으며`` 고성군 국민지원금 지원추진단(670-5962~5966)이나 주소지 읍·면사무소에 물어봐도 된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