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인터넷뉴스

  • 고성군 행정이 앞장서서 우리 말과 글을 천대한다
  • 한창식 발행인2025-09-18 오후 06:28:56


- 완전한 엉터리 스마트 쉼터 스마트 쉘터


2.jpg

 

고성군 행정이 우리 말과 글을 헤치고 천대하면서 외국글 받들어 모시는 정성이 너무나 지극하다. 이래서야 공공기관이라고 할 수 있겠나.

 

여러 차례 공공기관이 앞장서서 우리말글을 아끼고 가꿔 써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적 있는데`` 고성군 행정에서는 우리말글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아예 눈을 가리고 보지도 듣지도 않기로 작정을 했나보다.

 

영어 스마트(smart)란 단어 속에는 똑똑하다는 뜻도 있겠지만 자동제어가 되고 고성능 정보화되어 있다는 뜻도 들어 있다. 곧 인공지능이 있다는 뜻에 가깝겠다.

 

그래서 스마트 쉼터정도가 되려면 사람이 앞에 가서 서면 문이 절로 열리고 내부 온도가 자동으로 통제되고 자리에 앉으면 키 높이와 앉은 모양에 따라 자리도 이리저리 바뀌면서 최적화되고`` 목말라하면 냉장고 문이 열려 절로 한 잔 냉수가 따라져 나오는 정도가 돼야 참 똑똑한 쉼터라 하겠다.

 

3.jpg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실내에 텔레비전도 갖춰져 있고 더우면 냉방기가 돌아가고 추우면 의자가 따뜻해지는 정도라면 스마트가 아니라 잠간 들어가서 기다리기 편리한 컨비니언스(convenience)라고 하겠다. 그런데 지금 성내리 옛 학우사 건물 앞에다 지어놓은 버스대기실이 뭐 그렇게나 스마트 하다고 스마트 쉼터라고 써 붙여 놨는지 모르겠다.

 

스마트 쉼터는 그렇다 치고`` 도대체 스마트 쉘터는 또 무슨 해괴망측한 말인가. 쉘터(shelter)는 원어 사전을 보면 그야말로 피난처나 대피처이지 들어가 쉬고 싶으면 쉴 수 있는 곳을 뜻하지 않는다. 정말로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몸을 숨길 수 있는 대피호나 은신처`` 방공호 같은 것을 이를 때 쉘터(shelter)라고 쓴다. 이런 쉘터(shelter)에다 스마트까지 붙였다. 아마 이런 쉘터(shelter)는 지구상에 없을지도 모르겠다.

 

성내리 옛 학우사 앞에 지어진 시설물`` 누가 봐도 버스 승강장을 조금 더 넓혀 버스 기다리는 사람들이 한대에 서 있는 것보다 좀 더 편하게 했다는 거 이상도 아니다.

 

1.jpg


`` 그냥 그렇게 새 시설물 지어놓고 영어를 붙이지 않으니 불안한가? 한글로 버스 대기실’ ‘버스 승객 쉼터이렇게 써 놓으면 빈약하고 없어 보이나? 그래서 스마트 쉼터`` 스마트 쉘터를 영어로 막 써 놓으니 가슴이 벅차오르나?

 

또 주장하지만 공공기관은 우리나라 말과 글`` 곧 한글을 잘 다듬어 쓰고 빛내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다.

 

지금 세상은 이른바 ‘K-무엇무엇에 코리아 사랑으로 그야말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어쩌면 한 글자라도 한글을 배울까`` 노랫말 속에 한글을 넣어 코리아 사랑하는 마음을 보여줄까 하고 난리인데`` 우리는 도리어 공공기관과 공공행정에서 한글을 천대하고 미국말과 영어를 받들어 모시니 이게 무슨 해괴망측한 일인가 말이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