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인터넷뉴스

`칼럼]김삿갓을 그린다
기사입력 :
 

조선조 말엽의 방랑시인 김삿갓으로 불린 김병연


`날짐승도 길짐승도 다 제집이 있건만

나는 한평생 홀로 상심하며 살아 왔노라

짚신에 대지팡이 짚고 천리 길 떠돌며

물처럼 구름처럼 가는 곳이 내 집이었다

어린 머리칼 차츰 자라면서 운명이 기박해져

화를 입은 집안은 상전(桑田)이 벽해(碧海)로 변했네.


돌아가자니 어렵고 머무르기도 어려워 얼마나 긴 세월 길가에서 헤매야 하는가.


발길 닿는 데로 전국을 유랑하며 인간사 희노애락(喜怒哀樂)에 오욕, 칠정(七情)을 시로 읊었던 그는 서민 문학의 대가가 되었다. 워낙 글재주가 뛰어난 것이 그의 인생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그는 20세가 되었을 때 영월 동헌 향시를 보았다. 그때 시제로 나온 것이 역적 김익순 을 비판하라는 것이었다.


김익순은 그의 조부이며 선천부사 로서 홍경래 반란군에게 투항하여 역적이 된 사람이었다. 그는 울분을 토하듯 호기 있게 획을 그어댔다.


`신하라고 불려오던 저 김익순 아 듣거라

정공은 문관 이면서도 충성을 다하지 않았더냐.

한나라의 이능은 농서에서 항복 했으니 너와 같은 부류이며.........


이렇듯 통렬한 비판의 글은 그의 출중함을 드러내 보여 장원급제를 했다. 그러나 그 뒤에 그 김익순이 바로 조부임을 알고 나서 조상에 대한 죄책감으로 자기 자신을 용서 할 수 없어 방랑의 길을 떠나 세상을 개탄하고 조소하는 시를 쏟아 놓으며 살았다.


세상에 대한 또 자신에 대한 조소였다. 머리를 하늘아래 드러내지 못한 채 항시 삿갓으로 가리고서......


그러는 것이 그에게는 조상에게 속죄하는 길로 여겼던 것이다.


사람은 움직임에 따라 운명과 운명의 갈래가 있다고 할 때 운명을 절대적인 것으로 보면 그것은 하나의 체념이고 자신을 절대적인 것으로 보면 그것은 경거망동으로 비친다는 말이다.


▲ 이재신 문학평론가
그것은 김삿갓에게 후세의 사람들이 죄 값을 치루는 것이 처자를 버리고 방랑을 하는 것이냐 고 비판을 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다. 그러나 자신의 행동이 세상의 눈에 어떻게 비치든 인간에게는 자신을 절대적으로 믿고 움직일 수밖에 없는 하나의 선이 있다는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인생은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갈 천리가 있다. 오로지 자신의 것이기 때문이다. 그 누가 타인의 삶을 왈가왈부(曰可曰否) 할 것인가. 그저 내 삶의 잣대로만 삼아 옳은 것을 지향하고 아닌 건 지양하면 될 것이다.


하동의 마석리 산위에는 김립(金笠)이 그토록 그리워하면서도 돌아오지 못하던 생가가 그의 무덤을 내려다보고 있다. 한 많은 세상을 떠돌며 살다가 동북의 적벽강 기슭에서 하늘을 보고 눈을 감았다는 그의 시신은 3년 뒤에 아들에 의해 이리로 이장(移葬) 되었단다.


가문을 욕되게 한 죄를 방랑으로 잊으려 한 그가 잘한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그의 마음만은  강물처럼 모든 이의 마음속을 흐를 것 같다.


재산다툼으로 부모를 형제를 난도질 하는 현대에 김삿갓의 행로를 깊이 새겨볼 일이다.

 

 

<이 기사는 고성인터넷에서 100년 간 언제든지 볼 수 있습니다.>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성인터넷뉴스|Tel. 070-7092-0174, 070-7136-0174
PC버젼보러가기
Copyright by gsinew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