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인터넷뉴스

음력 정월대보름
기사입력 : 2014-02-14 오전 10:13:41

정월 대보름은 한국 세시풍속에서 비중이 크고 뜻이 깊은 날이라 대보름이라 일컫는다. 매우 드물지만 정월 14일을 작은보름, 15일을 큰보름이라 부르는 곳도 있다. 이날을 상원(上元)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원(中元, 715), 하원(下元, 1015)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다.

 

오기일(烏忌日), 원소절(元宵節), 원석절(元夕節), 원야(元夜), 원석(元夕), 상원(上元), 큰보름, 달도(怛忉), 등절(燈節), 제등절(提燈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보름의 유래 -삼국유사(三國遺事) 1 기이(紀異) 사금갑조(射琴匣條)

까마귀가 소지왕을 인도하여 위급을 면하게 했고, 그 후로 매년 첫 번째 돼지··말날에는 백사를 삼가고 감히 동작을 아니하며, 15일을 오기일이라 하여 찰밥으로 제사지내니 지금에도 행하고 있다. 속말로 이것을 달도라 하니 슬퍼하고 근심해서 백사를 금기하는 뜻이다.

 

오기일과 찰밥으로 까마귀를 제사지내는 관습이 일연(一然)이 살았던 고려 후기에도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인데, 여기에도 찰밥의 유래가 거론되어 있다. 달도라는 말은 여기서는 오기일과 첫 번째 돼지날·쥐날·말날들의 속말로 백사를 삼가는 날로 되어 있다.

 

관련속담

 

개 보름 쇠듯,

보름에 풑밥할 놈이 나왔다,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

정월 대보름날 귀머거리장군 연 떠나가듯,

까마귀가 떼지어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비가 온다

 

관련풍속

 

줄다리기, 놋다리밟기, 차전놀이(車戰-), 쥐불놀이, 석전(石戰), 부럼깨기, 달맞이, 달집태우기, 지신밟기(地神-), 기세배(旗歲拜)

 

대보름 음식, 귀밝이술, 약밥(藥飯), 오곡밥(五穀飯), 생떡국, 섬만두 등

 

오곡밥

오곡밥은 시대나 기호에 따라 구성이 조금씩 달라지긴 했지만 대체로 찹쌀·찰수수··차조·콩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만든다. 오행의 청, , , , 흑의 기운이 도는 곡물로 지은 오곡밥은 오행의 기운을 골고루 받아 오장육부의 균형을 이루려는 의미다. 대보름 약식에 들어가는 잣이나 대추, 밤 등은 서민들이 흔히 구하기 어려운 재료였기에 약식 대신 오곡밥을 지어 먹기 시작한 것이 대보름 오곡밥의 시초다.

 

9가지 묵은 나물

묵은 나물은 봄·여름·가을에 나오는 다양한 나물을 삶아 말려 두었다 해를 지나 묵혀 먹는 것을 일컫는다. 영양, 향기, 맛이 좋은 묵은 나물은 겨울철 신선한 채소가 귀할 때 나물의 식이섬유와 철분, 비타민 등을 섭취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묵은 나물로는 고사리, 고비, 취나물, 호박, 가지, 시래기, 곰취, 토란대, 고구마순, 고춧잎, 다래순, 뽕잎, 질경이, 망초, 곤드레, 얼레지, 삼나물, 버섯 등이 있다.

 

부럼

부럼은 대개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문다. 여러 번 깨물지 말고 한 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해 한번 깨문 것은 껍질을 벗겨 먹거나 첫 번째 것은 마당에 버리기도 한다. 부럼을 먹어도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견과류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이 혈관과 피부를 기름지고 부드럽게 하기 때문. 견과류에는 청신경(속귀 신경) 활동을 돕고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아연 성분이 풍부해 예로부터 귀밝이술과 함께 부럼을 많이 먹었다.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정신이 나고, 그 해 귓병이 생기지 않으며 귀가 더 밝아진다" "한 해 동안 기쁜 소식을 듣게 된다"고 해서 생겨 난 풍속이다. 귀밝이술을 빚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정월 설날 아침 차례 상에 올리는 청주 등 맑은 술이면 된다. 이날 사용하고 남은 술을 정월 대보름날 마시면 귀밝이술인 것이다.

 

약식

찹쌀에 대추··잣 등을 섞어 찐 다음 기름과 꿀·간장으로 버무려 만든 음식으로 '약반'이라고도 한다. 약식을 꿀로만 하려면 너무 비싸서 보통 설탕을 많이 넣는다. 미리 설탕을 태워서 캐러멜 소스를 만들어 섞어서 쓰면 향기도 좋고 오래 찌지 않아도 발그스름한 색을 내기 쉽다. 약식이라고 하면 무조건 검은색이 좋은 줄 알지만 시중에 파는 제품에는 약식 원료를 넣어 색이 진한 것이 많다.

 

복쌈

복쌈은 대보름 절식 중 하나로 마른 김이나 취잎, 배추잎과 같이 데친 쌈 채소에 오곡밥을 싸서 먹는 것을 말한다. '복을 싸 먹는다'는 뜻으로 복을 기원하는 기복행위와 풍농을 기원하는 농경의례의 한 형태로서 의미가 있다. ·호박고지·고비·고사리·도라지·가지·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두었다가 먹으며, 개성 등지에서는 들깻잎으로 싸서 먹기도 한다.

 

 

 

고성인터넷뉴스|Tel. 070-7092-0174, 070-7136-0174
PC버젼보러가기
Copyright by gsinew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