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인터넷뉴스

[연재5] 굴복하지 않는 고려인의 용기를 기억합니다
기사입력 : 2019-04-30 오후 02:32:06

  

- 3차례의 이주" 4세대의 삶 / 한국에서 뿌리내릴 수 있을까

 

기록노동자 희정

 

고려인 너머-한국어 수업.jpg

 

부모는 뿌리 내리게 하는 사람이에요.”

 

이주한 까닭을 물으니 이리 답한다. 우즈베키스탄에서 뿌리내릴 수 없기에 2010년 자녀들을 데리고 한국에 왔다고 했다. 천 따찌야나 씨의 이야기다. 당시 첫째가 11" 둘째는 8살이었다. 친구들과 떨어져 말도 통하지 않는 낯선 곳에 가야 했다. 당연히 가기 싫어하는 아이들을 붙잡고 따찌야나 씨는 말했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 우리 고향 아니야. 이제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 사람들 고향이야.”

 

그래서 우즈베키스탄을 떠나왔다고 했다. 고향이 될 수 없어서.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없어요

 

고향은 무엇을 의미하냐고 묻고 싶었지만" 우선 따찌야나 씨의 고향은 어디냐고 물었다. 그녀는 예전이라면 소련이라 답했을 거라 한다. 그러나 소련은 사라졌다. 91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해체된다.

 

1980년대부터 소련 내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고 중앙아시아 공화국들의 독립국가 건설 요구가 커진다. 그에 따라 공화국은 자민족 언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기 시작한다. 독립 후인 2004년에는 우즈베키스탄의 모든 공문서가 우즈베크어로만 작성된다. 러시아어를 사용해온 고려인들에겐 새로운 언어 장벽이었다.

 

학교 수업도 우즈베크어로 진행됐다. 이때 많은 고려인 교사들이 교편을 내려놓아야 했다. 다른 직업들도 마찬가지다.

 

우즈베키스탄 사람 아니면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없어요.”

 

한국에 온 이유를 물으면 우즈베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은 이 대답을 했다. 강제이주 세대의 혹독한 적응을 발판삼아 다음 세대는 고등교육을 받고 전문직업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런데 수십 년에 걸쳐 이룬 사회적 지위가 또다시 흔들렸다. 민족 부흥정책은 소수민족에 대한 배제로 이어졌다.

 

그런 가운데 정국은 불안했고" 물가는 요동쳤다.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은 안정된 삶을 찾아 각지로 흩어진다. 그러다 한국에 온다.

 

고려인 너머-국내 고려인 거주 도시.jpg

 

자녀의 인생을 생각해 한국에 오다

 

국내 한국인과 고려인들이 서로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88년 서울올림픽이었다. 각국 사람들이 서울에 온 그때" 소련 선수단 명찰을 달고 고려인 선수들도 올림픽에 참가한다. 고려인들도 변화된 남한 모습을 생중계를 통해 접한다. 이후 소련의 개방정책 흐름을 타고 대우그룹 등 기업과 한국 선교사들이 러시아 영토로 진출한다.

 

점차 고려인들도 한국을 찾게 되고" 2007년 방문취업(H-2) 비자가 구소련 지역 동포들에게 발급되자 국내 고려인 수는 급증한다. 출입국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현재 국내 거주 중인 고려인은 8만 명 이상이라 추정된다.

 

두 아이의 아빠인 박 알렉산드라 씨는 고려인들이 단지 일자리 때문에 한국에 오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아이들 학교 가는 것도 차로 데려다 주지 않으면 위험합니다. 여기(한국)는 안전하게 가르칠 수 있어서 좋습니다.”

 

통학길마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 했다. 그래서 5년 전 가족들과 한국으로 왔다. 2014년이 첫 방문은 아니었다. 14년 전인 2000" 24살 나이에 한국으로 일하러 왔다. 방문취업비자(H-2)가 발급되지 않던 시절이었다. 그는 우즈베키스탄 소속으로 왔다.

 

의정부 남양주에 회사가 있었는데"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당시 이주노동자들에게 제공되는 일이란 것이 빤했다. 일은 힘들고 말은 통하지 않았다. 같이 일하는 한국인들도 고려인이 누구인지 알 리 없었다. 4개월만에 우즈베키스탄으로 돌아간다.

 

그 후 가족이 생겼다. 우즈베키스탄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일자리 구하기는 더 힘들어졌다. 박 알렉산드라 씨는 다시 한국으로 왔다. 세월이 지났으니 노동환경이나 작업장 사정이 나아졌냐고 물었다. 별로 그렇지 않은 듯 했다. 그래도 오래 머문다. 자녀의 인생을 생각해야 하는 나이가 되었다.

 

인정받아야 한다

 

천 따찌야나 씨 이야기로 돌아가자. 이제 자녀들에게 고향이 생겼을까. 그녀는 고개를 저었다.

 

우리 애들 지금 고향이 없는 느낌으로 살고 있어요.”

 

딸에게 들은 말이 있어서다. 몇 해 전 방송국에서 취재를 왔을 때" 딸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국적은 우즈베키스탄인데" 쓰는 말은 러시아 말인데" 민족은 고려인에. 우리 대체 무슨 사람입니까?”

 

한국에 와 적응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딸은 종일 책상에 앉아 러시아 책만 읽었다고 한다. 딸은 울었고 따찌야나 씨는 독하게 마음먹는 편을 택했다.

우리 여기서 외국 사람처럼 (취급) 받고 있는데" 노력해서 한국에서 인정받아야 한다고 했어요.”

 

한국에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그녀의 말은 강제이주 직후 고려인들의 선택을 떠올리게 한다. 따찌야나 씨의 아버지는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지금 살고 있는 곳이 고향이다.”

 

혼신을 다해 고향에서 살아야 한다고 했다. 소련에서 적성민족이 아닌 국민으로 인정받고자 한 노력은 고려인들을 콜호스(집단농장) 노동영웅으로 만들었다. 독보적인 생산량에는 막대한 땀이 들어갔다. 따찌야나 씨도 한국에 와 12시간 노동을 감내한다.

 

고려인너머 태권도 수업.jpg

 

열매를 맺고" 나중에

 

“(자식들이) 다 자라니까 열매를 보고 마음이 자랑스러워요.”

 

딸이 스무 살이 됐다. 취업을 하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 6급 자격증을 땄다고 한다. 일하면서 돈을 모아 대학에 갈 생각이다. 딸 자랑이 끊이지 않는다. 그녀가 노력의 열매이자 인정의 조건이라 믿고 있는 고등교육" 유창한 한국어" 번듯한 직업을 자녀들이 하나씩 이뤄내고 있다.

 

그렇다면 따찌야나 씨의 열매와 뿌리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녀는 영주권을 따기 위해 한국어 공부를 했었다고 한다.

 

지금은 마음이 좀 피곤해서 놔뒀어요.”

 

정확히는 여력이 없다. 안산에서 화성까지 매일 출퇴근을 한다. 일하면서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일은 어렵다. 자신은 재외동포 비자(F-4)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자식들은 다를 거라 믿는다. 자녀가 한국 사회에서 안정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이 목표인 사람이다. 그래서 자신은 뒤로 미룬다. 그런 이에게 꿈을 물었다.

 

애들 미래가 제 인생이에요.”

 

그러다 잠시 후 말한다.

 

사실은 아직까지도 마음 속에 꿈이 있는데" 애들 돌보고 가르쳐 주는 거예요.”

 

우즈베키스탄에서 교사생활을 1년 했다. 평생 학생들을 가르치며 살 줄 알았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에 오게 됐다. ‘나중에를 말한다.

 

나중에 손주 생기면" 손주 친구들 모아서 유치원을 만들고 싶어요.”

 

새로운 고향으로 삼길

 

자신을 나중으로 미루고" 자녀들이 뿌리 내리길 바란다. 한국을 새로운 고향으로 삼길 기대한다. 처음부터 묻고 싶던 질문을 한다. 이들에게 고향이란 무엇일까.

 

내가 만난 고려인들은 한국을 다양하게 정의했다. ‘아버지의 나라라고 강하게 말하는 이도" ‘역사적 조국이라고 건조하게 말하는 이도 있다. 누군가는 조심스럽게 부탁했다. 우즈베키스탄에 해가 되는 내용은 담지 않았으면 한다고. 다시 돌아갈 나라라고 했다.

 

한자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러시아 땅에서 가문의 본()이 적힌 종이를 몇 세대 동안 간직한 가족도 있었다. 한편 한국에서 사망한 부모의 시신을 꼭 러시아로 모셔가겠다고 하는 이도 있다. 그곳에 선산이 있다고 했다.

 

그리고 한국은 자식들이 새로이 뿌리내기길 기대하는 땅이기도 하다. 이들에게 돌아갈 곳이라 여겨지는 고향은 저마다 다른 의미로 존재했다. 따찌야나 씨가 말한 고향이란 자신을 공동체 성원으로 인정하는 사회일 것이다.

 

외국 사람으로 취급받지 않는 사회에서 살길 원한다. ‘인정에 한 발 다가갔다는 생각에 그녀는 딸이 받은 상장과 자격증에 감동한다. 그런데 이들이 한국 사회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이러한 인정일까.

 

인정과 환대

 

<사람" 장소" 환대>(문학과지성사" 2015)에서 김현경 교수는 사람은 일종의 자격이며 타인의 인정을 필요로 한다고 했다. 저절로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다. 환대를 통해 사회에 들어가야 사람이 된다. “환대란 자리를 주는 행위이고" 사람이 된다는 것은 사회에서 자리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필요한 것은 환대이다. 그래야 따찌야나 씨와 같은 이들이 자꾸만 자신을 뒤로 미루지 않고" 지금 이곳에서 자리 잡을 수 있다. 환대는 단지 마음이 아니다. 자리 마련. 그러니까 한 사람의 거주권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제도와 법이 따라가야 하는 문제이다.

 

한국사회는 고려인들의 새로운 고향이 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궁금해진다. 다음 편에서는 고려인들이 말하는 한국에서의 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은 이들에게 어떤 자리를 내어주었는가.

 

 

 

고성인터넷뉴스|Tel. 070-7092-0174, 070-7136-0174
PC버젼보러가기
Copyright by gsinew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