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시·군에서 1년 이상 살다가 「2017~2019년」 기간에 고성군으로 옮겨와 사는 577가구를 대상으로 지난 8월 4일부터 18일까지 15일 동안 벌였던 귀농귀촌실태조사 결과를 12월 21일 공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제대로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 동남지방통계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전입" 주거" 사회관계를 비롯한 6개 부문 51개 항목을 조사했다.
먼저" 전입부문에서는 창원" 진주" 김해 순으로 경남지역 안 이동이 51.8%를 차지하고" 귀농귀촌을 결정하게 된 이유는「퇴직 후 전원생활」과 「고향이어서」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귀농귀촌 이후 대체로 만족하는 응답자가 44.0%로 불만족 9.7%에 견주어 4배 이상 높았고" 82.9%가 스스로 귀농귀촌을 잘 했다고 평가했으나" 전입 이후 정착단계에서 23.2%가 「의료" 복지" 문화시설과 생활환경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 기반시설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입 준비단계에서 27.5%가「상담과 안내 부족」으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제대로 뿌리내려 살 귀농귀촌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강화해야 할 정책에서 먼저 해야 할 일로「정보 제공 및 홍보」를 꼽았다.
주거부문에서는 50.3%가「만족」으로 응답했는데"「자연 환경과 경관이 아름다워서」에 대한 답변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사회관계 부문에서는 10.8% 정도가 마을 주민과 갈등을 겪었다고 답변했는데" 주된 요인으로는 「귀농귀촌인에 대한 선입견과 텃세」"「농촌과 도시 생활방식 차이」를 꼽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14.8%「친한 지역 주민과의 상담」이 가장 많았다.
행정 정책부문으로는 「건강관리와 건강 증진 서비스」와 「문화·체육 서비스」순으로 공공서비스 확대를 요구하였으며" 제대로 뿌리내리고 살기 위해서 필요한 정책으로 귀농인의 35.1%「영농자금 지원」" 귀촌인의 25.1%「귀농·귀촌 홍보」를 먼저 해주기를 원했다.
마지막으로 귀농 부문에서 귀농 이후 직업의 분포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업농가는 72.4%" 나머지는 농업 말고 다른 경제활동을 하는 겸업농가로 나타났다.
박정규 기획감사담당관은 “귀농귀촌 인구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 경험과 정보 부족으로 농촌에 뿌리내리고 사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는데" 이번 조사로 귀농귀촌인들의 생각을 자세히 살필 수 있었다”며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제대로 뿌리내리고 살 수 있도록 도시민을 끌어들일 정책 방안 마련에 적극 이용할 생각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