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위한 경남형 탄소중립 전략 필요 주장

경상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허동원 위원장은 10월 23일(목) 오후, 도의회 문화강좌실에서 열린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을 위한 경남 탄소중립 전략」 정책토론회를 주재했다.
이번 토론회는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시행을 앞두고, 도내 수출기업 부담 요인을 살피고 실제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경상남도와 경남탄소중립지원사무소가 공동으로 마련한 자리로, 도의회와 도청 관계부서, 연구기관, 수출기업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허동원 위원장은 개회 인사에서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단순한 환경규제가 아닌 산업 경쟁력 구조 전환을 요구하는 국제 흐름”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기점으로 행정과 산업계가 협력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탄소감축과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이 개별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도 차원 지원체계와 전문기관 구실이 중요하다”며 “도의회에서도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관련 제도 개선과 예산 지원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 계형석 대표가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주요 내용과 대응 방향’을, 김진수 ESG경영연구원 대표가 ‘기업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현황과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배효길 경상남도 기후대기과장, 황성철 한국항공우주산업 지속가능기획팀장, 박진호 경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서경호 경남탄소중립지원센터 팀장이 참여해 ▲행정-기업 사이 대응체계 구축 ▲중소기업 맞춤형 지속가능경영 지원 ▲탄소배출 감시와 인력양성 같은 자세한 방안을 제시했다.

허 위원장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경남 주력 수출 산업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이지만, 동시에 탄소중립 산업 전환을 꾀할 기회”라며, “오늘 제시된 정책 제안들이 도정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도의회 차원에서도 살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