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더덕 양식산업 안정화를 위한 채묘기술 지원
경상남도 수산기술사업소 고성사무소(소장 구갑진)에서는 금년도 미더덕 종묘의 안정적인 채묘와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해 5월부터 10월까지 미더덕 유생조사 등 채묘기술 지도반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미더덕은 전량 자연채묘에 의존해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고 채묘성적에 따라 생산량이 30%정도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미더덕 양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안정적인 채묘이다.
이에따라 기상과 해양환경 변화를 반영해 수온과 염분`` 용존산소 등 어장환경을 조사․분석하고`` 미더덕 유생과 같은 시기에 출현하는 굴과 진주담치`` 유령멍게 유생의 출현상황을 분석하는 등 과학적인 유생조사 등 채묘기술 지도반을 운영해 성공적인 자연채묘를 통한 안정적인 생산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미더덕 유생은 부유기간이 24시간 내외로 아주 짧아 유생출현 상황의 신속한 전파가 필요하므로 5월부터 10월까지 주1~2회 이상 유생조사를 실시해 해양변동 등 유생출현 동향을 문자메세지(SMS)를 활용해 신속하게 전달할 계획이며 미더덕 채묘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고성사무소에 직접 전화로 문의하면 언제든지 미더덕 유생 출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3년간 미더덕 유생조사를 분석한 결과`` 6월 20일부터 7월 2일`` 7월 22일부터 8월 12일`` 9월 12일부터 9월 24일 전후로 미더덕 유생이 많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더덕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양식을 시작했으며`` 1999년에 양식품종으로 지정돼 현재는 경남에서 전국 생산량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경남의 대표적인 특산 수산물로서 연간 30``000톤 내외가 생산되고 있으며`` 이중 30%정도를 고성에서 생산해 100억 내외의 어업인 소득을 올리고 있는 아주 중요한 양식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