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원전 빵~! 하면 고성군이 최대 피해지

> 뉴스 > 고성뉴스

고리 원전 빵~! 하면 고성군이 최대 피해지

한창식 발행인  | 입력 2014-12-11 오전 11:08:58  | 수정 2014-12-11 오전 11:08:58  | 관련기사 0건

지난 1010,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회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 사고 때 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보다 3배 먼 지역인 고성군에서 오염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는 모의실험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이번 모의실험은 기상청이 실시하는 기상기술개발사업의 하나인 기상씨앗기술개발사업으로, 기상청의 의뢰를 받아 사단법인 대기환경모델링센터에서 새로운 방사능 물질 확산 모델을 개발해 실시한 것으로, 20103170시에 고리 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상해 17~18일 이틀 동안 방사성 물질이 퍼져나가는 모의실험을 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어서 고성 통영 창원 등지의 시민들에게는 큰 충격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1010일 보도된 한겨레신문 기사 원문과 장하나 의원실에서 배포한 국정감사 보도자료 원문(파일보기 방사능확산모델21010기상청고리원전사고시.hwp)이다.

 

 

고성

 

 

아래는 1010일 보도된 한겨레신문 기사 원문과 장하나 의원실에서 배포한 국정감사 보도자료 원문(파일보기)이다.

 

래 기사는 한겨레신문 1010일자 보도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원전 사고 방사능 확산 모의실험

90떨어진 곳이(고성군) 가장 오염 심해

 

- 올해 개정한 비상구역 30와 큰 차

- “계절·아침저녁 등 상황 따라 달라 기상조건 반영된 대피계획 필요

- 기상청, 3억 들여 실험모델 개발

- 보고서만 받아놓고 후속조처 손 놔

 

핵발전소 사고 때 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보다 3배 먼 지역에서 오염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모의실험 결과가 나왔다.

 

109일 기상청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한테 제출한 동아시아 방사능 물질 확산 예측 모델 개발보고서를 보면,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규모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18시간 뒤 90떨어진 경남 고성 지역에서 최대 대기농도의 오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대기환경모델링센터는 기상청의 의뢰를 받아 새로운 방사능 물질 확산 모델을 개발해 20103170시에 고리 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상해 17~18일 이틀 동안 방사성 물질이 퍼져나가는 모의실험을 했다. 지표 부근 세슘-137(Cs-137)의 농도는 1시간 뒤에는 발전소에서 560베크렐()/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18시간 뒤인 17일 오후 7시에는 발전소에서 서남서쪽 90지점(경남 고성군)에서 1079/로 최대값이 나타났다.

 

이곳은 최근 정부가 개정해 내년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반경 30를 훨씬 벗어난 지점이다. 국회에서는 52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방사능방재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통과돼, 핵발전소 반경 8~10범위로 지정돼 있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반경 30까지 확대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처장은 비상계획구역을 기계적으로 몇 로 확대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계절별로, 아침저녁으로 바뀌는 기상 상황이 반영된 실질적인 방재구역 설정 작업이 중요하다. 특히 모의실험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해 주민들이 사고 발생 때 대피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본 정부는 20로 돼 있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30로 확대해 주민들을 대피시켰으나 정작 핵발전소에서 50떨어진 후쿠시마현 소마군 이타테무라 마을에서 기준치의 2천배가 넘는 방사선이 검출됐다. 당시 일본 정부는 모의실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타테무라는 뒤늦게 주민 소개 지역으로 설정됐으며 지금도 귀환이 어려운 지역으로 남아 있다.

 

새 모델은 아시아지역 핵발전소 사고 때 방사성 물질의 확산 예측을 위한 현업용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개발됐음에도 고리 핵발전소에만 모사(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설정됐을 뿐 현업에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모델 개발에는 지난 2년 동안 31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

 

한창식 발행인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 비밀번호 :

칼럼&사설전체목록

[기고] 진정한 도시재생은 무엇일까?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