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씨 성을 가진 분들은 잘 봐두시기 바랍니다

> 뉴스 > 고성뉴스

윤씨 성을 가진 분들은 잘 봐두시기 바랍니다

고성방송  | 입력 2021-04-16 오후 04:22:11  | 수정 2021-04-16 오후 04:22:11  | 관련기사 건


윤씨 성을 가진 분들은 눈여겨봤다가 문중에 좀 알려주기 바랍니다.

현재 해마다 제사를 지내오던 일본에서는 제사 주인공인 기사 속 윤씨 일가친척들을 만나보기를 원하면서 일본에서 제사를 지낼 때 한 번 일본 현지를 찾아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또 그들은 일본과 그들의 고향을 위해 중요하고도 고귀한 노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의 고향인 조선의 경남 고성군을 찾아 서로 교류하기를 원하고도 있습니다. 제사를 지내오던 분들이 나이가 많아서 계속 제사를 지내기 어려운 것도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마 씨 일가족이 한꺼번에 일본으로 가 뿌리내리고 살았던 듯합니다.

 

윤씨 문중의 족보를 뒤져보면 틀림없이 연고자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고성인터넷뉴스로 연락바랍니다. 010-6686-7693


순직 고성군 노동자 위해 100년 동안 제사 올린 일본인들



지난해 3월 26일 효고현애 추도비 건립올해도 추모식

일가족으로 보이는 경남 고성군 사람 4명 사상(당시 신문기사)

 


해마다 326일이면 일본 효고현 다카라즈카의 시민단체 <외국인시민문화교류협회>의 곤도 도미오(近藤富男고문은 조선인을 추도하는 제사를 올린다. 1929년 후쿠치야마선 철도개수공사 중에 숨지거나 다친 경남 고성군 사람인 윤길문(尹吉文, 21 즉사), 오이근(呉伊根, 25 병원에 실려 가던 중 사망), 윤일선(尹日善, 25)과 그의 부인 여시선(余時善, 19 중경상씨와 1914-1915년 고베 수도건설 공사에서 사고로 숨진 또 다른 조선인 김병순남익삼장장수씨를 추도하기 위해서다.

 

Untitled-1.jpg


올해도 예외는 아니었다곤도 도미오씨는 "코로나19로 크게 추도회를 열 수 없어서 올해는 몇 사람 회원들이 추도회로 모였다"고 전했다사망 시기가 서로 다른 희생자들이 한데 추도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였다이들을 함께 기리는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가 2020년 326일 제막되었기 때문이다.

 

곤도 도미오씨가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세운 것은 재일동포 향토사학자 정홍영 씨의 유지를 받들기 위해서였다. 1993년 두 사람은 1929년의 신문기사에 의지해 후쿠치야마선 터널사고 현장을 답사하고 그 자리에서 첫 제사를 지냈다이날이 마침 순직자들의 사망일(326)이어서 두 사람의 제사는 희생자들의 사망 이후 64년 만에 지내는 첫 제사였다곤도 도미오씨는 이날이 고 안중근 의사 서거일이어서 또렷이 기억했다고 말했다.

 

이후 두 사람은 해마다 사고 현장을 찾아 윤길문오이근씨의 제사를 올렸고, 2000년 118일 정홍영 선생이 타계하신 뒤에도 곤도 도미오 선생의 주도로 제사는 계속됐다머지않아 다카라즈카의 시민단체와 재일동포들도 이 제사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Untitled-3.jpg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위해 지내는 제사가 거듭되면서 추도비 건립이 의논되고마침내 지난해 326일 옛 후쿠치야마선 제6호 터널 근처 <벚꽃동산신수이 광장에 추도비가 세워진 것이다사고가 난지 91이들의 희생이 다시 세상에 알려진 지 27년만의 일이었다.

 

추도비 제막식을 한 달 앞둔 2020년 223곤도 도미오 선생은 가까운 곳 타마세의 불교사찰 만후쿠지(萬福寺)의 주지스님한테서 뜻밖의 연락을 받았다그는 "옛날(1914-15타케다오의 터널 폭파 공사로 죽은 조선인들을 추도하고 있다"면서 "이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궁금하다"고 문의해 온 것이다.


곤도 도미오 선생이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건립소식을 전하자 주지스님은 "그동안 우리가 계속해 온 위령의 마음도 함께 이어갔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으므로결국 양쪽에서 따로 제사를 지내오던 다섯 사람의 희생자를 한데 추모하는 추도비를 세우기로 한 것이다주지스님은 추도비의 제막식 법회를 집전하기도 했다.

 

또 추도비 뒷면에는 "슬퍼할 도()"자가 크게 새겨져 있는데 이는 다카라즈카의 시장 나카가와 도모코(中川智子)씨가 쓴 것이다조선인 희생자 다섯 사람의 추도비 건립을 위해 다카라즈카의 시민단체와 종교단체그리고 시정부까지 거들고 나섰던 것이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는 건립 1주년을 맞았지만관계자들의 숙원은 풀리지 않은 채 남아있다추도비 속 다섯 사람 주인공들은 이름 말고는 알려진 것이 없기 때문이다희생자들의 연고자를 찾는 것이 이들의 새로운 과제였다.

 

희생자들의 고향을 찾기 위해 두 차례나 한국을 찾았으나 목적을 이루지 못한 곤도 도미오씨는 필자에게 연고 조사를 부탁했다당시 최승희 조사연구차 효고현을 찾았던 필자가 80년 전의 공연 기록을 찾아내는 것을 보고 추도비의 조선인에 대한 기록도 찾을 수 있으리라는 희망이 다시 솟았다고 했다.

 

쉬운 일 일리 없었다사고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고 전공 분야가 아닌 기록을 어떻게 찾아야할지 막막했다그러나 누군지도 모르면서 100년 동안 조선인 제사를 모셔온 이들의 부탁을 거절할 수가 없었다.

 

1914-15년과 1929년의 관공서 기록과 신문기사를 다시조사하면서 다행히 새로운 정보가 나타났다. 1929년의 신문기사에서 윤길문오이근씨의 고향이 경상남도 고성(固城)임이 확인되고, 1914년에 죽은 김병순씨의 매장허가서에서 그가 강원도 강릉 출신임도 찾아냈다김병순씨의 기록에는 본적지 주소가 거의 완벽히 쓰여 있었으므로 강릉 조사부터 시작했다.

 

강릉 조사에 앞장서 준 것은 현지의 시민단체와 학계인사들이었다. <김성수열사 기념사업회>의 홍진선 이사장과 강릉원주대학의 강승호 교수그리고 강릉의 문화콘텐츠사 <네트피아>를 경영하면서 강릉원주대학에 출강하는 유선기 사장 같은 분들이 그들이었다.

 

이들의 요청으로 강릉 향교의 전교 최기순씨사무국장 김남철씨성균관유도회 강릉지부 회장 최상은씨가 적극 협조해 주었고성균관유도회의 왕산지회장이자 유림 잡지 <청년유림발행인 권우태씨도 김병순씨의 100여 년 전 소재를 찾기 위한 도움을 아끼지 않았다.

 

여러 사람의 노력 끝에 결국 경주김씨 수은공파 강릉지회의 총무 김자정씨를 만날 수 있었고김자정씨는 상하 두 권에 걸쳐 600 쪽이 넘는 세보 기록을 샅샅이 뒤진 끝에 결국 김병순씨의 이름을 찾아냈다김병순씨 항목에는 "일본 거주(居日本)"라는 석 자가 기록의 전부였지만 그것만으로도 이 김병순씨가 다카라즈카의 김병순씨라는 점이 확인됐다.


이제 앞으로 이 족보기록을 바탕으로 김병순씨의 유족과 친척을 찾는 일이 남아 있다가족과 친족의 도움을 얻어야 호적이나 민적과 같은 공식 기록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건강상의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김자정씨는 친족의 소재를 찾는 일을 맡아주기로 하셨다족보에 친족들의 이름과 선산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결국 연고자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강릉 조사가 진척을 보이면서 경상남도 고성 조사도 곧 시작될 예정이다윤길문오이근씨가 고성 출신임이 확인되기는 했지만자세한 본적지 주소가 파악되지 못했으므로 조사 과정은 더 까다로울 것이다하지만 강릉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향교와 문중의 도움을 받으면 두 사람의 연고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일본에서도 효고현 이타미 거주 재일동포 정세화씨는 일본 기록을 조사 하고 있다. 1915년에 숨진 장장수남익삼씨에 대한 한국내 연고지에 대한 어떤 기록도 찾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효고현과 오사카부교토부의 외국인등록 기록과 회사 고용기록을 찾아 열람하고 있다현해탄의 이편과 저편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주인공들의 연고를 찾기 위해 1세기 동안 제사를 지내고뒤늦게나마 그들의 연고를 찾으려는 이유가 무엇일까곤도도미오씨는 "20세기 초 효고현의 발전나아가 일본 근대화를 위해 조선인들이 노력하고 희생한 것을 잊으면 안 된다"고 대답했다재일동포 정세화씨도 "우리 할아버지와 할머니들께서 이 땅에 살아가며 뿌리내리기 위해 치르신 희생을 잊을 수 없다"고 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이 발간한 <조선인희생자추도비(2019)>에 따르면 일본전역에 170개 이상의 조선인 위령비와 추도비가 세워진 것이 확인됐다그 가운데에는 생존을 위해 현해탄을 건너간 노동이민자들도 있고, 2차 대전 동안 강제로 끌려간 노동자들도 있다어떤 경우이든 열악한 임금과 노동조건 속에서 혹사당하다가 죽음을 당한 조선인들을 기리기 위함이다.

 

오늘날의 일본 정부는 당시 군국주의 정부와 기업의 만행을 부정하고 미화하지만많은 일본인 시민들은 조선인들의 희생을 기억하면서 기리고 있는 것이다.

 

다카라즈카 시민들이 <조선인 추도비>를 세우는 데 멈추지 않고 희생자들의 연고를 찾아 나선 것은정부가 해결하지 못하는 과거사 문제를 정리하고 두 나라 시민들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가고 싶은 열망 때문일 것이다. (*)

 

조정희 PD

재일조선인 연구가




고성방송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 비밀번호 :

칼럼&사설전체목록

[기고] ‘지방소멸대응기금’ 슬기로운 활용이 필요하다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