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호 태풍 프란치스코 제9호 태풍 레끼마 동시 출격

> 뉴스 > 칼럼&사설

제8호 태풍 프란치스코 제9호 태풍 레끼마 동시 출격

김흥순/글로벌인간경영연구원장  | 입력 2019-08-06 오전 08:35:15  | 수정 2019-08-06 오전 08:35:15  | 관련기사 건

6a924c2a1ebe430_150897442055641799.jpg  8호 태풍의 이름은 공교롭게도 천주교 성인의 이름이다. 지금 교황님의 이름이다.

 

성당에 들러 프란치스카 자매님에게 농담을 건넸다. 프란시스코(Francisco)' 태풍이 온다는데 어떠세요 했더니, 자매님은 웃으면서 '조용하게 착하게 지나갈거에요'하며 웃었다.

 

그녀가 말한 프란시스코가 북상, 6~7일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강한 바람이 불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프란시스코는 5일 오후 3시 현재 일본 가고시마 동쪽 약 390km 부근 해상에서 북동진하고 있다. 현재 프란시스코의 중심기압은 985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시속 97km, 강풍반경 230km로 강도는 중인 소형 태풍이다.

 

1.jpg

 

프란시스코는 6일 오후 3시쯤 경남 통영시 남남동쪽 약 180km 부근 해상에 상륙할 때는 강도가 약해진다. 통영 부근에 상륙할 때 프란치스코의 중심기압은 990hpa, 최대풍속 시속 86km, 강풍반경 180km로 강도가 약해진 소형 태풍이 될 전망이다.

 

프란시스코는 우리나라를 향해 점차 북동진, 6일 오후 제주도 동쪽해상을 지나 6일 밤~7일 새벽 남해안(여수~통영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7일 오전에 충청, 오후에 강원 영동으로 이동해 밤에는 동해안으로 빠져나가 열대저압부로 약화되겠다. 6일 밤~7일 새벽에 남해안에 상륙한 뒤 수증기 공급의 약화, 지면마찰에 의해 강도가 약해질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프란시스코가 동해안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6~7일 남부지방를 시작으로 중부지방에 이르기까지 전국에 순차적으로 비가 내리겠다.

 

쌍끌이 태풍이지만 각자 놀고 있어 후지와라 효과 등은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다.

.

2.jpg


1호 태풍 파북(PABUK)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콩 강에 서식하는 민물고기 중 한 종류

 

2호 태풍 우딥(WUTIP)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비를 의미

 

3호 태풍 스팟(SEPAT)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농어과의 민물고기를 의미

 

4호 태풍 문(MUN)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야프어로 6월을 의미

 

5호 태풍 다나스(DANAS)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경험 의미

 

6호 태풍 나리(NARI)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백합속의 꽃을 의미

 

7호 태풍 위파(WIPHA)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숙녀의 이름.

 

8호 태풍 프란시스코(FRANCISCO)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남자의 이름.

 

9호 태풍 레끼마(LEKIMA)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과일 나무의 한 종류

 

3.jpg   

 

2019년 태풍 이름

1호 태풍 파북 (1901)

2호 태풍 우딥 (1902)

3호 태풍 스팟 (1903)

4호 태풍 문 (1904)

5호 태풍 다나스 (1905)

6호 태풍 나리

7호 태풍 위파

8호 태풍 프란시스코

9호 태풍 레끼마

10호 태풍 크로사

11호 태풍 바이루

12호 태풍 버들

13호 태풍 링링

14호 태풍 가지키

15호 태풍 파사이

16호 태풍 페이파

17호 태풍 타파

18호 태풍 미탁

19호 태풍 하기비스

20호 태풍 너구리

21호 태풍 부알로이

22호 태풍 마트모

23호 태풍 할롱

24호 태풍 나크리

25호 태풍 펑선

26호 태풍 갈매기

27호 태풍 풍웡

28호 태풍 간무리

29호 태풍 판폰

30호 태풍 봉퐁

 


 

김흥순/글로벌인간경영연구원장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 비밀번호 :

칼럼&사설전체목록

[기고] 고성 출신 ‘건축왕’, 정세권 선생 선양사업 추진해야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