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농어촌 활성화와 농수산물 소비 촉진, 지역화폐 환급 정책으로 지원해야

> 뉴스 > 정치의원뉴스

[기고] 농어촌 활성화와 농수산물 소비 촉진, 지역화폐 환급 정책으로 지원해야

고성인터넷뉴스  | 입력 2025-10-21 오후 01:30:49  | 수정 2025-10-21 오후 01:30:49  | 관련기사 건

허동원.jpg

 

 - 허동원 도의원(국민의힘, 고성2)

 

농어촌은 지금, “새로운 전환을 시도할 것인가아니면 이대로 서서히 소멸할 것인가의 갈림길에 서 있다.

 

필자는 농수산물을 생산하던 전통적인 농어촌의 틀에서 벗어나, 도시의 삶과는 다른 농어촌만의 가치와 매력을 새롭게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원과 잠재력을 극대화해 농어촌을 단순한 거주지가 아닌 살고 싶은 공간, 찾고 싶은 공간으로 바꿔야 한다.

 

농어촌 소멸의 핵심 원인은 인구 유출과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다.

 

정부는 지방소멸대응기금 등을 통해 재정 지원을 하고, 농어촌지역은 생활환경 개선이나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구감소 속도를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다.

  ※ 생활인구 : 교통·통신의 발달로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2023년부터 도입된 제도로 기존 주민등록 인구뿐만 아니라 월 1,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외국인)

 

기금이 전국적으로 분산되고, 사업은 많지만, 실제 사람의 발길을 끌어들이는 구체적 전략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소비와 사람이 동시에 머무는 구조적 해법이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농어촌의 각종 사업과 지역화폐를 연계한 새로운 접근, 소비촉진형 지역화폐 환급제를 제안한다.

 

우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가 2024년부터 시행한 추석맞이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는 유사한 정책 모델의 단서를 제공한다. 이 사례를 응용해 농어촌 활성화와 지역화폐 환급을 연계하면, 지역 내 소비 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첫째, 관광객 소비에 대한 지역화폐 환급제를 도입해야 한다.

외지인이 농촌체험마을을 이용하거나 지역 축제를 방문할 때 일정 금액을 지역화폐로 환급해 준다면, 관광객의 재방문을 유도하고 지역 상권의 매출이 직접 늘어날 것이다. 이는 지역 상인과 농어민의 소득 증대, 농촌체험마을의 지속 운영에도 도움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둘째, 귀농·귀촌 지원사업의 지역화폐 지급을 병행해야 한다.

‘52’, ‘43등 생활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서, 지원 예산의 일정 부분을 지역화폐로 제공한다면 지역 내 소비가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생활인구가 지역사회와 관계를 이어가는 지속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셋째, 경상남도는 이를 기반으로 고성군형 지역화폐 환급 시범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고성군은 체험·관광·수산업이 결합된 복합 구조를 갖고 있어, 농어촌 소비와 지역화폐를 연결하기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관광객에게는 환급의 혜택, 농어민에게는 소득의 보상, 지역에는 소비의 선순환을 만드는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다.

 

지금 정책결정자들이 해야 할 일은 단순히 예산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움직이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지역화폐 환급정책은 외부 자본이 머물고, 지역 내 소비가 돌며, 상인·농어민·지자체가 함께 살아나는 구조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지속과 소멸의 갈림길에 선 지금, 필자는 지속 가능한 고성군과 경남의 농어촌을 위해 과감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고성군이 지역화폐 환급정책을 통해 소비와 사람의 흐름을 되살린다면, 농어촌은 다시 살아 움직이는 경제공간이 될 것이다.

 

농어촌의 변화는 멀리 있지 않다. 현장에서 사람과 소비가 다시 만나기 시작할 때, 지속 가능한 미래도 함께 시작된다.







고성인터넷뉴스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 비밀번호 :

칼럼&사설전체목록

고성군, 농어촌기본소득 공모사업 끝내 불참, 대안 있나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