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주가 아닌 금주가 답이다, 알코올의존장애

> 뉴스 > 기자수첩

절주가 아닌 금주가 답이다, 알코올의존장애

고성인터넷뉴스  | 입력 2017-11-21 오후 12:03:54  | 수정 2017-11-21 오후 12:03:54  | 관련기사 건

술은 조금만 마시면 즐거운 기분을 느끼게 해주지만 정도 이상 많이 마시거나 자주 먹어 일상에 지장을 주면 그때부터 문제가 생긴다. 그렇다면 이렇게 술로 인해 초래되는 문제는 어떻게 해야 극복이 가능할까?

 

한국인의 술 문화, 이대로 좋은가?

우리나라는 술에 관대하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 어디를 가더라도 술이 기본으로 나올뿐더러 회식과 잔치를 비롯해 각종 모임에서 술이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어디 이뿐인가? 식사를 하면서도 반주라는 명목으로 술을 주문하기도 쉽다. 또한 술을 먹고 한 말과 행동에 대해서는 면죄부를 준다.

 

술 때문에 그랬으니 이해하라는 말은 한두 번 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직장인의 경우 술 먹은 다음 날 숙취 때문에 일을 제대로 못하더라도 웬만해서는 눈을 감아준다. 대학생들도 MT에 가면 인사불성이 되도록 술을 먹이고 먹는다. 술 때문에 대학 MT나 신입생 환영회에서 목숨을 잃는 사건도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최근에는 키친 드렁커(Kitchen Drunker)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가정주부들의 술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남편과 자녀가 직장과 학교로 간 후에 혼자서 술을 마시면서 알코올 의존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알코올의존인가? 정상적인 음주인가?

사람들은 심각한 술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알코올중독자라고 하지만, 전문용어로는 알코올중독(Addiction)’이라 하지 않고 의존(Dependence)’ 혹은 사용장애(Use Disorder)’라고 한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로 술을 먹어야 장애라고 진단을 내릴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그 기준을 주량으로 생각한다. 객관적으로 소주 몇 병이라든지, 아니면 자신의 평소 주량을 넘기면서 마신다면 알코올 의존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나 정신건강전문의와 심리학자 같은 전문가들은 주량이 아닌 음주의 결과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즉 술을 얼마나 먹는지 보다 술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있는지를 본다. 즉 술을 밤새도록 먹었더라도 다음 날 직장이나 학교에 출근 · 출석해서 무리 없이 직장생활이나 학교생활을 한다면, 그리고 가족 안에서도 술 때문에 생기는 갈등이 없다면 문제음주라고 보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일상이나 법적으로 문제를 일으킨다면 아무리 적게 먹는 술이라도 의존이라고 판단을 내린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개인의 선호나 취향이 일상에 문제를 일으킨다면 멈출 수 있다. 술도 의존이 아니라 정상적인 기호식품으로 마시는 사람이라면 술이 문제가 될 때 멈출 수 있다. 그런데 술 때문에 문제를 겪더라도 안 마실 수 없다면 그것이 바로 의존이다. 치료가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

 

알코올의존장애 평생 관리해야

알코올의존 치료는 쉽지 않다. 어떤 전문가는 마약의존보다 더 어렵다고 말한다. 마약의 경우 구입과 유통이 쉽지 않고 많은 돈이 필요하다. 반면 술은 구하기가 쉽고 값도 저렴하다. 여기를 가도, 저리를 가도 사람들은 쉽게 술을 권한다. 심지어 스스로를 알코올의존장애라고 밝히더라도, “한두 잔은 괜찮지 않냐는 반응이 돌아온다. 그렇다면 정말 그럴까? 취하지 않을 정도로만 마시면 괜찮은 것일까?

 

서양의 일부 전문가들은 알코올의존이라고 해도 아주 소량은 괜찮다고 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 특히 한국의 거의 모든 전문가들은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알코올의존에서 벗어나려면 절주가 아닌 금주가 유일한 답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한국이 술에 대해 관대한 문화기에 알코올의존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아주 심각한 상태라는 것이다. 그래서 한두 잔만 마셔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고, 이는 곧 알코올의존의 재발로 빠져들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술을 입에 대지 말라고 한다.

 

과연 알코올의존에 완치는 있을까? 안타깝게도 알코올뿐 아니라 모든 의존(마약, 도박 등)에는 완치라는 개념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 말은 언제든 재발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이다. 알코올의존 치료는 끝이 없는 싸움과도 같다. 이 싸움을 하는 사람이 혹시 주변에 있다면 어떤 경우에도 술을 권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직접 이 싸움을 하고 있다면 어떤 경우에도 술을 먹어서는 안 된다. 전문가의 도움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 도움과 협조를 요청하면서 이겨내야 한다. 절주가 아닌 금주가 답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남지부

 

 

    

고성인터넷뉴스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 비밀번호 :

칼럼&사설전체목록

내란은 처벌되고 우리 민주주의는 비약적 진전을 이룰 것이다

최근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