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12-23(월요일)
-
김흥순 / 자유기고가 | 입력 2015-01-08 오전 04:51:40 | 수정 2015-01-08 오전 04:51:40 | 관련기사 57건
김흥순 / 자유기고가
한국인 유전자 특징 몽고반점(Mongolian spot, 蒙古斑點), 몽골주름, 몽골리안 플래시(Mongolian Flash)’
갓난아기 엉덩이나 등, 손 등에 멍든 것처럼 퍼렇게 보이는 얼룩점
(1)한국인 신생아 97% 관찰
(2)일본과 중국 몽고점 갓난아기 비율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
(3)백남준의 몽고반점 퍼포먼스 유명
관동대 의대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손문 교수팀이 2012-2013년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출생한 신생아 19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7.1%에서 몽고반점이 관찰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일본인의 경우 몽고반점 발생률은 81.5%, 중국인은 86.3%이며, 미국 인디언들도 62.2%에 불과하다.
몽고반점은 몽골과 만주, 시베리아, 한국, 일본, 중국 양쯔강 이북 지역, 중앙아시아, 인도 북부 부탄, 티베트, 아메리카 인디오와 이누이트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난다. 중앙 유럽의 헝가리와 터키, 남아프리카의 칼라하리 사막에 사는 부시맨, ‘연가’라는 노래를 통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뉴질랜드의 마오이족에게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백인종 중에게서도 몽고반점이 나오는 민족이 있다. 불가리아인들이다. 이로 인해 불가리아인의 시조인 원(原)불가족이 동방에서 건너온 민족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빈도가 매우 낮기는 하지만 흑인인 니그로이드계의 유아에서 몽고반점이 관찰되기도 한다.
몽고반점은 배아 발생 초기 표피로 이동하던 멜라닌색소세포가 진피에 머무르면서 생기는 푸른색 반점이다. 진피에 있는 멜라닌색소세포는 출생과 동시에 서서히 없어지므로 몽고반점도 4~5세부터 없어지기 시작해 13세경에는 완전히 없어진다.
| |
성인이 되어서도 남아 있는 경우는 몽고반점이 아니라 ‘오타모반’이라는 불리는 색소성 질환이다. 일본인 의사 오타 씨가 처음 이름을 붙여서 오타모반이라 불리는 이 점은 푸르스름한 점이 주로 눈 주위나 관자놀이, 이마, 코에 발생한다.
백인의 경우 피부의 멜라닌색소가 너무 적으며, 반대로 흑인은 멜라닌색소가 과다하기 때문에 몽고반점이 있다 해도 표리의 색소에 덮여 눈에 띄기 어렵다. 따라서 간혹 백인 아기가 몽고반점을 갖고 태어난다 해도 동양인처럼 선명하진 않으며, 몽고반점은 동아시아인들의 유전자에만 각인된 특별한 표식도 아니다.
설화에 의하면 옛날 명진국이라는 하늘나라에 아기를 좋아하는 삼신할머니가 살았는데, 옥황상제의 명을 받고 정월 초하루 새벽이면 세상에 내려와 아기를 갖고 싶어 하는 부부에게 아기를 점지해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출산을 앞둔 산모가 아기를 낳지 못해 힘들어하고 있을 때 삼신할머니가 배를 쓸어주자 대번에 아기가 쑥 나왔다. 아기가 울지도 않고 움직이지도 않아 삼신할머니가 손바닥으로 찰싹 때리니 그제야 아기가 울음을 터트리며 숨을 쉬기 시작했다.
삼신할머니가 얼마나 세게 때렸던지 아기 엉덩이에 푸른 명이 들었는데, 그때부터 우리나라 아기들 엉덩이에는 ‘몽고반점’이라고 부르는 푸른 멍이 생기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백남준이 추구했던 몽골코드
1965년 독일 아헨 공대에서 개최된 연주회에서 한국 출신의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이 갑자기 바지를 내린 후 자신의 엉덩이를 관객들에게 보여줬다. 당시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공연과 전시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그였지만, 정작 그가 관객들에게 보여주려고 한 것은 엉덩이 자체가 아니라 몽골로이드계 인종의 특징인 ‘몽고반점’이었다
백남준이 연주회에서 몽고반점을 보여준 이유는 변방의 아시아인으로서 주류 구미 예술계에 뛰어든 그는 유럽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대제국을 이루었던 몽골처럼 전 세계를 아우르는 예술을 추구하고 싶었던 것이다. 백남준이 평생 추구했던 예술적인 코드 중 하나가 바로 ‘몽골 코드’였다.
몽고반점은 전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몽골로이드계 인종들이 서로 동질성을 확인하는 코드가 되기도 하지만, 서양인에게는 몹시 생소한 표식이다.
인류학상 몽골 인종 다른 특징 중 하나 ‘몽골주름’
쌍꺼풀에 있는 홈의 위치가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있으며 피개주름이라는 피부의 주름이 생기는데, 몽골주름은 이것이 눈시울에 있는 누구(淚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은 것 같이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특히 이 주름은 눈시울의 상외 측에서 하내 측을 향해 경사져 있어 외견상 눈시울을 날카롭게 보이게 한다. 몽골주름이 생긴 이유는 아시아 중부의 기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모래바람과 눈[雪에 반사된 빛이 눈을 자극하는 걸 방지해주기 때문이다.
‘몽골리안 플래시(Mongolian Flash)’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는 현상. 알코올 성분이 분해되어 생긴 아세트알데히드가 다시 산(酸)으로 변해 체외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그게 제대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될 경우 얼굴이 빨개지게 된다. 이 현상 역시 황색 인종에게서 잘 나타난다고 해서 ‘몽골리안 플래시’라 불린다.
김흥순 / 자유기고가 gsinews@empas.com
ⓒ 고성인터넷뉴스 www.gsi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토 뉴스전체목록
최근뉴스
명칭 : 인터넷신문 | 제호 : 고성인터넷뉴스 | 등록번호 : 경남 아 00033 | 등록연월일 : 2006년 9월 14일 | 발행연월일 : 2006년 9월 14일 | 발행인 : 한창식 | 편집인 : 한창식
발행소 : 경남 고성군 고성읍 중앙로 48 동외빌딩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창식 | 사업자 번호 : 612-03-63094
Tel : 070-7092-0174 | Phone : 010-6686-7693 | E-mail : gsinews@empas.com
| 통신판매신고 : 제2008 경남고성 0001호
Copyright © by gsinews.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mail to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를 금합니다.